◆킵웰
킵웰(Keepwell)이란 자회사가 채무불이행, 즉 디폴트(default)에 빠졌을 때 모회사가 지급 능력을 보증해주는 약정을 말한다. 중국 기업들은 역외 발행 채권에 외국인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목적으로 이를 활용해 왔다. 그런데 최근 들어 중국의 달러화 표시 채권 디폴트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킵웰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 구인배율
구인배율은 노동시장의 수급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자리수를 취업희망자 수로 나누어 구한다. 예컨대 구인배율이 0.7이라면 취업 희망자 10명당 7개의 일자리가 있다는 의미다. 구인배율이 높아질수록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지고, 낮아질수록 취직하기가 어려워짐을 나타낸다.
◆ 스티커 쇼크
스티커 쇼크(Sticker shock)란 기대 이상의 비싼 가격으로 소비자가 받는 충격을 말한다. 최근 미국에서는 혁신도 없고 값만 비싸진 신형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가 줄고, 구형 휴대폰이나 기존 보유 휴대폰을 오래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크게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는데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이 신형 휴대폰을 사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스티커 쇼크를 들었다.
◆ 무역확장법 232조
무역확장법 232조는 미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항으로,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때 추가 관세 부과나 수입 물량 제한, 세이프가드 등을 발동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1962년 제정 이후 50여 년 동 안 실제 적용된 사례가 단 두 건에 불과할 정도로 사실상 사문화된 법이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호무역주의 수단으로 부활시켰다.
◆ 네오 뱅크
네오 뱅크(Neo bank)란 오프라인 지점 없이 모바일이나 인터넷만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디지털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기반으로 고객과의 접근 방식을 넓힌 인터넷 은행을 말한다. 미국 컨설팅 업체인 액센추어는 2020년 네오뱅크가 기존 은행 점유율의 35% 이상을 빼앗을 것으로 전망했으며, 실제 국내에서도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가 출범하며 큰 변화가 나타났다.
◆ 리테일테크
리테일테크(Retailtech)란 소매 또는 소매점을 뜻하는 리테일(Retail)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편의점·마트 등의 소매점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것을 말한다. 아마존의 무인점포시스템 '아마존 고', 알리바바의 슈퍼마켓 '허마' 등이 리테일테크의 대표적 사례다.
◆ 종합부동산세
종합부동산세는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종합토지세 외에 일정 기준을 초과 하는 토지와 주택 소유자에 대해 국세청이 별도로 누진세율을 적용해 부과하는 국세다. 보유 부동산에 대한 과세 형평성 제고와 부동산 가격 안정을 목표로 2005년 6월부터 시행됐으며, 2008년 개편 이후 10년 만에 개편을 앞두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 바이오시밀러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란 특허 기간이 끝난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을 본 떠 만든 비슷한 효능의 복제약을 말한다.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바이오의 약품과 유사한 성분 함량 등을 포함하면서도 다른 방식을 이용해 만들기 때문에 오리지널 의약품에 비해 약값이 저렴하다.
◆ 공유경제
공유경제(Sharing economy)란 2008년 로런스 레시그 미국 하버드대 교수에 의해 처음 사용된 말로,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니라 서로 빌려 주고 빌려 쓰는 개념으로 인식해 경제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즉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으로 에어비앤비, 우버, 디디추싱 등이 공유경제를 대표하는 기업이다.
◆ 키오스크
키오스크(Kiosk)란 본래 옥외에 설치된 대형 천막이나 현관을 뜻하는 터키어(또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말로, 간이 판매대 등을 가리킨다. 정보통신 산업에서는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해 대중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를 일컫는다.
◆ 애자일(Agail)
’민첩한’이란 뜻을 가진 단어로 원래 IT산업에서 정해진 계획보다 고객이나 시장의 피드백을 빨리 반영해 신속하고 유연하게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애자일은 시장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최적의 조직 운영 방식으로 평가받아 최근 기업들이 조직 체계를 개편하고 운영 하는데 반영하고 있다.
◆ 헝거마케팅(Hunger marketing)
정해진 시간에 한정된 물량만 판매하는 마케팅 기법으로 소비자들을 배고프게 하거나 갈증나게 해 그들의 즉각적인 구매를 촉진하는데 전략이다. 기업이 의도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제품을 소량만 판매하거나 한정판을 출시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적정임금제
입찰과정에서의 가격덤핑, 원도급–하도급 등을 거치는 도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근로자의 임금 삭감을 방지하기 위해 발주자가 정한 금액 이상으로 임금을 보장하는 제도이다. 국토교통부는 적정임금제 시범사업 대상 10개소를 선정하고, 오는 6월부터 순차적으로 입찰을 발주할 예정이다.
◆ 일자리안정자금
2018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 및 영세 중소기업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고 노동자의 고용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 사업이다. 30인 미만 사업장의 근로자에게는 1인당 최대 월 13만 원의 정부 보조금이 지급된다. 2018년까지 한시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올 4월까지 185만 명이 일자리 안정자금을 신청했다.
◆ 30-50클럽
1인당 국민 소득이 3만 달러이면서 인구가 5000만 명 이상인 국가를 말한다. 한국은행을 비롯한 주요 경제 기관들이 2018년 우리나라의 1인당 GNI(총국민소득)이 3만2000달러 안팎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예측대로라면 우리나라는 일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에 이어 7번째로 30~50클럽에 가입하게 된다.
◆ 네이키드 숏셀링(Naked short selling)
공매도는 주식을 갖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하는 네이키드 숏셀링(무차입 공매도)과 제3자에게서 주식을 빌려 매도하는 커버드 숏셀링(차입 공매도)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네이키드 숏셀링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주식을 확보한 뒤 거래하는 커버드 숏셀링만 허용하고 있다.
◆ 팻 핑거(Fat finger)
굵은 손가락을 뜻하는 것으로 증권 매매 담당자의 손가락이 자판보다 굵어 주문을 잘못 입력하는 실수를 가리키는 용어다. 최근 삼성증권은 현금 배당이 아닌 주식 배당으로 잘못 입력하는 팻 핑거로 수 백 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 호혜세(reciprocal tax)
특정 국가가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에 대응해 미국도 상대국에 같은 세금을 부과하는 일종의 보복 관세를 말한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대미 흑자국을 대상으로 호혜세를 도입하겠다고 밝히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 인슈어테크(Insurtech)
보험(Insurance)과 기술(Technology)을 합친 신조어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등의 IT 기술을 활용한 보험 혁신 서비스를 뜻한다. 보험사들은 인슈어테크의 일환으로 계약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해 보험료를 할인·할증하거나 건강 상담을 해주는 메디 케어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 토지공개념
토지의 사유권은 인정하되, 토지의 공공성과 합리적 사용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정부가 토지 소유주에게 특별한 제한을 가하거나 의무를 부과하는 것을 뜻한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헌법 개정안에 토지 공개념이 포함돼 주목을 받았다.
◆ SEM 마케팅(Search Engine Marketing)
SEM 마케팅은 검색 엔진 사이트를 이용해 특정 웹 사이트로 방문을 유도해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인터넷 마케팅이다. 유명 검색 엔진에 기업 웹사이트를 등록하거나 상위 랭킹에 검색 결과가 나타나게 해 소비자들이 인식하지 못하게 광고하는 효과를 올릴 수 있다.
◆ 에어드롭
직역하면 항공기나 낙하산에서 식량 등을 투하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가상화폐 거래에서는 특정 가상화폐를 보유한 사람에게 추가로 코인을 배분해주는 활동을 말한다. 이는 주식시장에서 기존 주주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배정하는 무상증자와 같다.
◆ 로우볼
낮은 변동성(Low volatility)의 줄임말로 증시의 변동성이 심할 때 상대적으로 주가 변동성이 낮은 종목을 중심으로 투자해 분산 투자하는 전략을 말한다.
◆ P플랜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의 장점을 결합한 사전회생계획제도(Pre-packaged plan)의 줄임말로 법원이 강제 채무조정을 통해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한 뒤 채권단이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구조조정 방식을 말한다.
◆ MSCI
미국 모건스탠리에서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로 글로벌 펀드를 운용할 때 주요 투자 기준으로 활용된다. 미국 등 선진국 시장을 대상으로 한 선진국지수와 한국 등 신흥시장을 대상으로 한 신흥지수로 크게 구별된다. MSCI지수에서 특정 국가의 비중이 높아지면 외국인 투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을 선정해 총 305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를 개발했다.
◆ 희토류
'자연계에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라는 의미로 란탄과 스칸듐, 이트륨 등 총 17개 원소를 총칭하는 희귀 광물을 말한다. 전 세계 생산량의 90% 이상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 (LCD) ·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정보기술(IT) 산업, 컴퓨터 등 전자제품, 형광체 · 광섬유 제품 등에 필수적인 자원이다.
◆ 신파일러
직역하면 ‘얇은 파일’ 을 의미하는 것으로 금융거래 정보가 거의 없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최근 금융위원회는 이들이 신용평가에서 받는 불이익을 완화하기 위해 비금융정보와 공공요금 · 통신요금 납부 실적 등을 추가하기로 했다.
◆ 에코세대
에코세대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자녀 세대로 일반적으로 198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부모 세대만큼 출생물이 비교적 높아 메아리세대라고도 불리며 풍족한 환경에서 성장해 유행에 민감하고 쇼핑을 좋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싼커
중국인 단체관광객인 유커와 반대되는 중국인 개별관광객을 의미한다. 이들은 패키지여행보다는 자유여행을 선호하고 가족이나 친구들끼리 한국에 방문해 백화점에서 쇼핑을 즐긴다.
◆ 소비자심리지수(CCSI, Consumer Composite Sentiment Index)
한국은행이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산출하는 소비자동향지수 중 6개 개별지표(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 전망, 가계수입 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를 표준화해 종합한 지수다. 이 지수 통해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데카콘(decacom)
머리에 뿔이 10개 달린 유니콘을 의미하며 기업가치가 100억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을 칭하는 용어다. 기업가치가 10억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을 의미하는 ‘유니콘’이 증가하면서 블룸버그 가 희소한 가치를 가지는 100억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을 '데카콘'으로 재분류해 부르기 시작했다.
◆ 코즈 마케팅(Cause Marketing)
코즈 마케팅은 기업이 사익과 공익을 함께 추구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미국 신발 업체인 '탐스슈즈' 사가 신발 한 켤레를 판매할 때마다 빈민국 아이들에게 한 켤레씩을 기부하는 전략을 펼쳤는데 불우한 아이들을 도우면서 수익을 창출한 대표적인 코즈 마케팅 사례다.
◆ 언택트 마케팅(Untact marketing)
언택트 마케팅은 접촉을 뜻하는 컨택트(contact)에 언(un)을 붙여 접촉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정보를 비대면으로 제공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키오스크(무인단말기), VR(가상현실)쇼핑, 챗봇(인공지능 기반 대화로봇) 등을 활용한 언택트 마케팅은 최근 대형마트, 백화점, 카페, 패스트푸드, 건강, 뷰티 산업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 란런(懶人)경제
란런경제는 '게으른 사람' 이라는 중국어와 '경제'를 합성한 단어로 게으른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20-30대 젊은 층과 바쁜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인터넷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빠르고 쉽게 식사, 쇼핑, 세탁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O4O(Online for Offline)
O4O는 온라인을 오프라인으로 연결하는 현상으로 온라인 노하우를 통해 오프라인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마케팅 및 유통 과정에서 O4O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최근 신한카드는 고객의 위치나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고객에게 적합한 할인 혜택을 제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카드 사용을 증대시키는 지오펜싱(geo-tencin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제로 레이팅(Zero rating)
특정 앱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 비용을 사업자가 부담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 요금이 면제되거나 할인되는 특징이 있다.
◆ KRX300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통합지수이다. 거래소는 코스피와 코스닥을 통틀어 시가총액 상위 700개 기업 가운데 거래 규모가 상위 80%인 종목들을 대상으로 심사를 거쳐 코스피 237 종목과 코스닥 68종목을 선정해 총 305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를 개발했다.
◆ 사이드카(Sidecar)
선물시장의 급등락에 따라 현물시장의 가격이 급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가격안정화 장치로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변동한 시세가 지속될 경우 주식시장의 프로그램매매 호가는 5분간 효력이 정지된다.
◆ 세계경제포럼(WEF)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은 세계적인 기업가, 경제학자. 저널리스트, 정치인들이 참석해 경제에 대해 토론하는 모임이다. 매년 1~2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되어 다보스포럼이라고도 불린다. 올해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한 '포용적 개발지수' (2018년)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작년보다 2계단 하락했다.
'겅부합쉬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테스트 경영편<1> (0) | 2022.01.02 |
---|---|
매경테스트 시사용어 정리중7 (0) | 2022.01.02 |
매경테스트 시사용어 정리중5 (0) | 2022.01.02 |
매경테스트 시사용어 정리중4 (0) | 2022.01.01 |
매경테스트 시사용어 정리중3 (1) | 2022.01.01 |